국내암정보

전립선암 전이 재발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

건강사랑 0 4375


전립선암 전이 재발 거세 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 방법 


전립선암

전립선암은 위암과 폐암, 대장에 이어 국내 남성이 많이 걸리는 4대 암종 중 하나 입니다. 전립선암은 과거 고령층이 많이 걸리는 암이었지만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30~40대의 젊은 층에서도 발병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가장 큰 위험은 초기증상이 거의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전립선암은 치료시기를 놓치면 암이 뼈로 전이되거나 다른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조기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립선암은 초기에 발견할 경우 95%이상의 완치율을 보입니다. 그 이유는 초기 전립선암은 대부분 전립선에 국한돼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립선암이 전이 되어 호르몬요법이 듣질 않는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으로 악화되면 치료가 매우 어렵습니다.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의 치료법

 

전립선암은 고령의 나이에 주로 발생하고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허혈성 심질환, 만성신장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과 같은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어 세포독성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하지만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기존 호르몬 요법이나 새로운 호르몬 치료제 등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항암화학요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감염, 발열, , 신기능장애, 탈모, 설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투여 후 건강관리와 이상시 빠른 치료와 처치를 받는 게 중요합니다.

 

또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의 약 90% 정도에서 골전이가 발생 합니다. 다발성 골전이를 동반한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는 골통증, 골절등의 골 관련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는 골격을 표적으로 하는 약제들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제가 졸레드로네이트와 데노수맵이 있고, 이 약제들은 3~3개월 간격 등으로 투여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속 사용 시 악골 괴사의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어 치료 전 치과 검사를 실시하고 발생하는 증상에 대해 의사와 상의가 필요합니다. 치료시 칼슘 및 비타민D 제제를 같이 투여 받는 것을 권고합니다

 

신약의 개발과 치료비용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은 기대수명이 9~13개월인 만큼 초기에 효과가 좋은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은 치료성적이 좋지 않아 불치병으로 졌지만 최근 10년간 엔잘루타마이드(엑스탄디)와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자이티가)가 개발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이 크게 개선 되었습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보험급여가 되는 전립선암치료제 신약들이 국내에서는 짧으면 70개월 많게는 85개월이 지나서야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어 이런 이유로 의료진도 고통스러워하는 암환자들에게 함부로 신약을 권유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2018
5월 전이성 전립선암에 한해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자이티가)와 카바지탁셀(제브타나)이 급여로 등재돼 다양한 치료옵션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지난해 5월에는 보장성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아비라테론 아세테이트와 엔잘루타마이드가 1차 치료제로 선별급여가 적용돼 전이성 전립선암환자들에게 희망을 주었습니다.

하지만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환자가 선별급여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다학제진료로 치료가 이뤄지면서 다른 과에서 환자의 통증조절을 위해 진통제를 사용할 경우 건강보험 적용이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기도 합니다.

 

*아래 단어를 클릭하시면 관련 정보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
+